이클립스 사용을하다 창이 꼬여 내 맘대로 안될때 초기화를 시켜버리자

 

1. 이클립스 창 배치 초기화 하기

Window > Perspective > ResetPerspective




 

웹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사이트가 느려진다면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 한가지 이유로 db관련 이슈가 있다.

 

그럼 개발자로써 해결을 해야하는데 많고 많은 웹서비스에 쿼리들 중에서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어떻게 찾아야할까?

mysql이 옵션중에 설정해놓은 시간 이상 걸리는 쿼리를 기록하는 옵션이있다.

 

 

먼저 해당 옵션이 켜져있는지 꺼져있는지 확인해보자.

나의 윈도우 컴퓨터는 나도 모르게 켜져있었다..

 

 

실습환경 : ubuntu 18.04

DB : mariadb 10.1.40

1. 옵션 on/off 확인하는방법

먼저 mysql에 접속한후

$ mysql -u root -p

 

show variables like 'slow_query_%';

명령어로 확인해보자

OFF 되있는걸 볼 수 있다.

밑에 log_file은 ON일 경우 느린 쿼리 기록을 남기는 파일 경로이다.

 

 

2. 슬로우쿼리 옵션 설정

mysql설정파일 즉 윈도우환경이면 my.ini 리눅스면 my.cnf를 켜고 

[mysqld] 아래에 다음과 같은 #slow-query-setting부분을 적고 저장하자 

slow_query_log=1 이 ON상태이고 0이 OFF상태이다

fie은 아까 말했던대로 log파일을 남길 경로이며

long_query_time은 로그를 남길 기준시간이다.

즉 지금 1로 설정해놓았는데 쿼리실행시간이 1초가 넘어가야 로그를 남긴다.

 

저장후 mysql 재시작을 해준다.

$ service mysqld restart

윈도우에선 gui로 서비스 재시작을 해주자

 

재시작후 다시 1번을 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이 바뀌어있다.

 

3. 로그 폴더 생성 / 권한부여

$ mkdir /var/log/slowlog

$ chown mysql:mysql /var/log/mysql

 

4.  TEST

mysql 접속을해서

select sleep(5);

의도적으로 시간을 지연시키는 쿼리를 보내고

 

나와서 확인을 해보자

Time 쿼리를 수행한 시간

User@Host 접속계정과 host정보

Query_time 쿼리가 수행되기까지의 시간

Lock_time 테이블 독점시간

그리고 밑에 수행한 쿼리문도 출력된다.

 

 

참고

https://2dubbing.tistory.com/19

https://zetawiki.com/wiki/MySQL_%EC%8A%AC%EB%A1%9C%EC%9A%B0_%EC%BF%BC%EB%A6%AC_%EB%A1%9C%EA%B7%B8_%EC%84%A4%EC%A0%95

 메이븐은 본래 빌드도구와 동시에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관리해주는 편리한 기능을 가지고있다.

 개발할때 사용할 외부 라이브러리들을 개발자가 일일이 가져올 필요없이 pom.xml에 등록만 해주면 메이븐이 관련 라이브러리까지 가져와준다. 

 이때 메이븐 repository를 이용하는데 만약 이곳에 없는 외부 라이브러리 혹은 내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려면 (메이븐 빌드이용) 어떻게 해야 할까? 

 

1. <scope> <systemPath>를 이용하는 방법

<dependency>
    <groupId>custom</groupId>
    <artifactId>sleepyeyes-custom</artifactId>
    <version>1.0</version>
    <scope>system</scope>
    <systemPath>${project.basedir}/src/main/webapp/WEB-INF/lib/sleepyeyes-custom.jar</systemPath>
</dependency>

간단하다 2개의 노드 추가로 끝이다.

 

groupId, artifactId, version은 임의로 적어도 무방하며

${project.basedir} 는 프로젝트의 ROOT경로이다.

 

2. 로컬 repository 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

 이방법은 2가지를 기억하면된다.

1. pom.xml에 repository경로 잡아주기

2. 프로젝트내 로컬repsitory 경로 규칙 잘 따라주기.

 

<repository>
    <id>local-repository</id> 
    <name>local repository</name> 
    <url>file://${project.basedir}/repo</url> 
</repository>

pom.xml에 <repositories>태그안에 로컬 경로를 잡아주고

<dependency>
    <groupId>custom</groupId>
    <artifactId>sleepyeyes-custom</artifactId>
    <version>1.0</version>
</dependency>

dependency는 평소와 똑같이 작성하면 된다.

 

단. 아래와 같이 경로를 맞추어 주어야 한다.

groupId/artifactId/version/jar이름

 

디렉토리 구성

 

 

첫번째 방법은 maven빌드시 해당 jar파일이 누락된다고 하니 이클립스 테스트용 정도로만 사용하고

실제 배포시에는 두번째 방법을 사용해야 할 듯 하다

 

참고

https://denodo1.tistory.com/282

http://cooldevlife.blogspot.com/2014/11/maven-build-custom-library.html

'MAV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VEN ERROR] Received fatal alert: protocol_version -> [Help 1]  (0) 2018.11.09

리눅스 우분투를 처음 접하면서 처음으로 당황스러웠던 점은 

뭐만하면 퍼미션 디나이가 뜨는 것이었다. 즉 권한이 없다는 말인데 그래서 처음 배운게 sudo명령어를 앞에 붙이는 방법이었다.

 

매번 명령어마다 앞에 sudo를 붙이는게 귀찮아 조금 더 알아보니 su 명령어로 root계정으로 전환하는 방법 이었다.

 

처음에는 su가 superUser의 줄임말인줄 알았다. 

 

그러던중 /etc/profile 에 분명히 alias를 등록해 놓았는데 su로 계정을 전환해도 매번 source /etc/profile을 안하면 alias가 초기화 되있었다.

 

모르고 쓰니 알턱이 없었고 구글링으로 약간의 공부를 한 결과 정말 내가 모르고 썼다는걸 느껴 정리를 해본다.

 

1. su (Swich User)

 우선 su는 그저 root계정으로 전환하는 Super User인줄 알았는데 Swich User 즉 사용자 전환 명령어였다.

파라미터를 안주면 기본으로 root계정으로 전환되었던 것뿐..

 

로그아웃 없이,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을 가능하게하는 리눅스 명령어
파라미터가 없으면 "su"는 "su root"와 동일(=root 계정으로 로그인)
로그인 하려는 계정의 패스워드가 필요하다
- 전환 하려는 계정의 환경변수는 가져오지 않는다.

 

저 마지막 줄 때문에 alias를 가져오지 못했던 것이다.

su -  로 계정을 전환하면 해당 계정에 환경변수까지 가져올 수 있다.

 

2. sudo (Substitute User Do)

sudo 명령어는 유닉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권한, 보통 슈퍼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명칭은 본래 슈퍼유저로서의 실행에 사용되던 것에서 “superuser do”에서 유래하였으나, 후에 프로그램의 기능이 확장되며 “substitute user do”(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의 줄임말로 해석되게 되었다. 

위키백과에 정리가 잘되어있어 가져왔다.

 

https://ko.wikipedia.org/wiki/Sudo

 

sudo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udo 명령어는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다른 사용자의 보안 권한, 보통 슈퍼유저로서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명칭은 본래 슈퍼유저로서의 실행에 사용되던 것에서 “superuser do”에서 유래하였으나, 후에 프로그램의 기능이 확장되며 “substitute user do”(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실행)의 줄임말로 해석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Sudo는 사용자 비밀번호를 요구하지만

ko.wikipedia.org

 

- 로그아웃 없이, 다른 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 가능하게하는 리눅스 명령어

- 파라미터가 없는 "sudo"는 "sudo -u root"와 동일(=root 권한으로 실행)

- 현재 로그인된 계정의 패스워드가 필요

- sudo -l : sudo 사용 시 관련 권한을 확인하는 방법

 

 

출처, 참고 : https://infosecguide.tistory.com/88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db설정과 웹프로젝트 배포하는법을 알아보자

지난번 포스팅 : https://sleepyeyes.tistory.com/40?category=799682

 

[ubuntu] 우분투 서버 세팅 [18.04]

보통 웹서버는 윈도우 환경이 아닌 리눅스 환경에 구축한다. 그러므로 리눅스 중에서 잘 알려진 우분투에 웹 프로젝트를 동작하기 위한 서버 환경 구축을 해보기로 한다. 1. JDK 설치 open jdk와 oracle jdk 두가..

sleepyeyes.tistory.com

1. DB 설정

설정할 내용은 윈도우에서와 비슷하다.

utf8을 잡아주어 한글이 안깨지게 해주고 사용할 port를 지정해준다.

추가적인 내용은 윈도우에서 mysql이나 maraiDB를 사용할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데 우분투에서는 default로 대소문자가 구분된다. 

그러므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게 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하다.

 

$ vi (mysql or mariadb 설치경로)/my.cnf

명령어로 설정파일을 열어주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밑에 추가해준다

 

[mysqld]
port=3307
innodb_buffer_pool_size=1015M
init_connect="SET collation_connection = utf8_general_ci"
init_connect="SET NAMES utf8"
character-set-server=utf8
collation-server = utf8_general_ci
lower_case_table_names = 1

[client]
port=3307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dump]
default-character-set = utf8

[mysql]
default-character-set = utf8

 

my.cnf

:wq

저장후

$ systemctl restart mariadb

재시작 해주어 설정이 적용되게 한다.

 

 

2. 웹프로젝트 배포

 자 이제 필요한 기본적인 설정이 끝이났다.

이제 윈도우 환경에서 개발한 웹프로젝트를 서버 톰캣에 배포해주면 된다.

 

먼저 해당 웹프로젝트 war파일을 우분투에 옮겨준 후 tomcat에 webapps 폴더로 이동후 풀어주면된다.

webapps에 바로 풀어도 되지만 여러 프로젝트를 돌릴 수 있으니 webapps 하위에 프로젝트명디렉토리를 만들어 관리하도록 했다.

 

$ mv (war파일경로) (톰캣설치폴더경로)/webapps/(프로젝트명)/

명령어로 옮겨주고

 

$ jar -xvf (war파일명) 

명령어로 배포해주자

 

이제 배포가 끝났으니 server.xml 에 해당 프로젝트 <Context>설정만 남았다.

 

$ vi (톰캣설치경로)/conf/server.xml

명령어로 들어가서

<Host> 태그 안에

<Context docbase="webapps폴더안에 war파일 배포해준 경로" path="">  를 추가해주자

 

server.xml

:wq

저장후

 

이제 톰캣을 켜 웹브라우저로 접속해 잘 작동하나 테스트만 해보면 된다.

 

$ (톰캣설치경로)/bin/startup.sh

명령어로 톰캣을 켜고

 

$ tail -f (톰캣설치경로)/logs/catalina.out

으로 잘 켜지나 톰캣log를 보자 (이클립스 콘솔)

 

에러 없이 잘 켜졌다!

 

자 이제 localhost:8080 or 127.0.0.1:8080 으로 접속하면 

리눅스에서도 고양이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로컬에서 테스트할때 항상 8080포트를 붙여주는데 이는 톰캣에 기본 포트이니 당연하지만

만약 실제 웹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를 없애야 할 것이다. 

이는 다음 포스팅에 계속..

 보통 웹서버는 윈도우 환경이 아닌 리눅스 환경에 구축한다. 그러므로 리눅스 중에서 잘 알려진 우분투에 웹 프로젝트를 동작하기 위한 서버 환경 구축을 해보기로 한다. 

 

1. JDK 설치

 open jdk와 oracle jdk 두가지 종류가 있다. 원하는 jdk를 받으면 된다.

설치 방법도 크게 두가지가 있다. 

1. apt-get 과같은 명령어로 다운받는 방법.

2. 윈도우 환경에서 tar.gz 파일을 받고 FTP나 SSH로 전송시키는 방법.

 

1-1 명령어 방법

 

$ sudo add-apt-repository ppa:webupd8team/java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1-2 윈도우에서 전송하는 방법

익숙한 oracle 홈페이지

맨날 깔던 윈도우용이 아닌 각자 환경에 맞는 리눅스용에서 tar.gz 파일로 다운을 받는다.

이제 우분투 서버 컴퓨터로 업로드 해야하는데 mobaXterm을 이용해 업로드 해주었다.

 

업로드 후

$ tar -xvzf [압축파일명] 으로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설치 후

$ java -version

$ javac -version 명령어로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 환경변수는 톰캣, 메이븐을 깔고 한번에 잡아줄 예정 *

 

 

2. tomcat , maven 설치

웹서버 역할을 해주는 톰캣과 빌드를 위한 메이븐을 설치해준다.

이 역시 명령어로 다운받거나, 직접 다운받아 압축을 푸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톰캣을 명령어로 다운받을경우 서비스에 등록되어 항상 구동되므로 2번 방법으로 다운을 받아보자.

 

역시 익숙한 tomcat 홈페이지

jdk 와 마찬가지로 Core: 하위에 tar.gz 파일을 다운받아 서버로 업로드 해주자

업로드 후

$ tar -xvzf [압축파일명] 으로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구글에 한글로 메이븐 검색을해도 홈페이지가 나온다

역시 tar.gz 파일을 다운받아 서버로 업로드

업로드 후

$ tar -xvzf [압축파일명] 으로 압축을 풀어주면 된다.

 

 

3. 환경변수 설정

 자바와 톰캣, 메이븐 설치를 마쳤다. 이제 환경변수를 잡아야 하는데 윈도우와는 달리 무궁무진한 방법들이 있었다.

아직 우분투에 익숙하지 않으므로 가장 쉬워보이는 방법으로 해보았다.

 

$ vi /etc/profile 

위 명령어를 치면 아래와 같은게 나온다.

쭉 밑으로 내려 아래 환경변수들을 몽땅 입력해 주고 저장한다.

 

export set JAVA_HOME=(압축푼jdk경로)
export PATH=$PATH:$JAVA_HOME/bin
export CLASSPATH=$CALSSPATH:$JAVA_HOME/lib

export set CATALINA_HOME=(압축푼톰캣경로)
export PATH=$PATH:$CATALINA_HOME/bin

export set M2_HOME=(압축푼메이븐경로)
export set M2=$M2_HOME/bin
export PATH=$PATH:$M2

 

:wq

:wq로 저장 후 

$ sourece /etc/profile

명령어로 reboot할 필요없이 적용시켜 준다.

 

4. DB 설치 (MariaDB)

$ apt-cache search mariadb-server

설치가능한 mariadb를 찾아보고

 

$ apt-get install mariadb-server-10.1

명령어로 다운받으면 설치가 완료된다.

 

$ mariadb --version

으로 설치 확인

 

 

기본적으로 웹프로젝트를 구동시키기 위해 필요한것들을 설치해보았다. 

목표인 윈도우환경, 흔히 이클립스에서 개발한 웹프로젝트를 동작시키기 위해선

db설정과 웹프로젝트 배포등에 작업이 더 필요하다. 이는 다음 포스팅에서 계속~

가상호스팅이란?


하나의 웹서버에 다른 도메인으로 여러 어플리케이션(웹사이트)을 돌리는것



가상호스팅 방법



1. ${catalina_home}/conf/server.xml 수정


크게 <Service> <Connector> <Engine> <Host> 태그가 있다.


Host태그를 보면 <Host name="localhost" appBase="webapps"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Host>

이렇게 되어있다.


name 부분이 도메인 즉 호스트명이며

appBase 부분은 어플리케이션이 위치할 경로이며  ${catalina_home}다음 상대경로가 잡혀있다. (절대경로 입력가능)


host 태그안에 context설정을 안하면 <Context docBase="ROOT" path="" /> 이렇게 기본값이 들어가는데

path는 도메인/xxxx 이 xxxx부분 경로를 설정하는 부분이며

설정된 path값의 URL이 어떤docBase를 이용할지 설정하는 태그이다.


그래서 톰캣을 깔고 localhost:8080 을 들어가면 고양이페이지가 나오는데 그 index.jsp는

 ${catalina_home}/webapps/ROOT/index.jsp 경로에 존재한다


이상 여담


<Host name="aaa.com"  appBase="D:\aaa"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Context docBase="aaa" path="" reloadable="true" />

</Host>


이렇게 태그를 추가 해준다.

aaa.com 을 호스트명으로 해주며

해당 호스트명으로 접속시 D:\aaa경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찾는다는 설정이다.


수정끝



2. 소스파일 위치


appBase 경로에 war를 넣던 프로젝트 소스를 올린다


여기서 잠깐 나는 도메인을 산게 아니니 hsots파일에 도메인 ip매핑을 했다.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파일에 

127.0.0.1     aaa.com 을 추가한다.


혹시나 hosts파일이 권한때문에 수정이 안되면 

https://sleepyeyes.tistory.com/ 를 참고하자.



3. 톰캣 실행



 톰캣을 실행시켜준다


 ${catalina_home}/bin/startup.bat 실행


이제 브라우저에 aaa.com:8080으로 접속! (각자의 어플리케이션 경로에 맞게 url 뒷부분을 더 넣어주자)후 확인~


localhost:8080 도 확인~


aaa.com으로 각자가 넣은 웹프로젝트가 나올 것이고

localhost로 여전히 고양이가 반겨준다


이렇게 하나의 서버로 두가지 어플리케이션을 다른 도메인으로 돌릴수 있다



참고

https://gs.saro.me/dev?tn=461

https://okky.kr/article/91825



톰캣 가상호스트 테스트를 하려고 hosts 파일을 수정하려다가 자꾸 권한문제로 수정이 안되어서 검색으로 알아보았다.



위와 같이 저장이 안되버린다.


검색해서 알아본 내용중에 가장 쉬운내용을 정리해보면


1. 메모장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열려진 메모장에서 파일 -> 열기 -> hosts파일 선택


3. 수정 후 저장 끝


참고

https://blog.gaerae.com/2016/07/windows10-hosts-file.html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 ProLiant MicroServer Gen10 (Marvell) RAID 구성하는법  (0) 2021.12.09
[Eclipse] 이클립스 창 배치 초기화  (0) 2019.10.10
Jsp Php Asp ?  (1) 2018.07.27
웹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WAS)  (1) 2018.07.06
TCP 3 Way-Handshake  (0) 2018.06.27

지난번 웹투비에 이어서 제우스도 설치해보자


* 개발환경 jdk 1.5, JEUS 5, WebtoB 4.1


1. 제우스 설치파일 다운

https://technet.tmaxsoft.com/ko/front/main/main.do


중앙 왼쪽 JEUS에 플로피디스크 모양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버전을 확인후 다운로드 버튼 클릭


운영체제와 bit수를 확인후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jdk, 웹투비, 제우스 bit수 통일)


2. 설치


설치파일 클릭


경로 설정 해주고


윈도우 서비스 등록은 해주거나 말거나 말그대로 윈도우 서비스 관리창에서 관리가..가능


jdk 경로 잡아주고


갑자기 비밀번호를 등록해야한다. 

JEUS 컨테이너 구동 및 JEUS관리자 계정 비밀번호가 되므로 기억해두자


QuickStart는 패쓰~ 아니오를 클릭하고 마저 설치를 끝낸다.


3. 환경변수 셋팅


JEUS_HOME = jeus 설치경로



Path에도 

%JEUS_HOME%\bin, %JEUS_HOME%\lib\system 를 추가해준다.

단독 제우스만 사용시 %JEUS_HOME%\webserver\bin도 추가해준다. 제우스 내장 웹서버 경로이다.


4. 라이센스 등록


웹투비와 마찬가지로 라이센스를 발급받는다.


보라색 라이센스 신청 배너 클릭



제품명에 제우스를 선택하고 버전을 맞게 선택한다

발급유형은 Demo와 Trial 두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Demo : 사용자가 무제한으로 접속이 가능하나, 2개월의 유효기간을 가집니다.  

Trial : 사용자가 접속이 5명으로 제한됩니다. 유효기간은 무제한입니다.


Demo 선택시 Host Name 을 입력해야 하는데 

cmd창에 hostname을 쳐서 얻거나 내컴퓨터 속성 컴퓨터이름이 곧 호스트 네임이다. (웹투비 설치 참고)

http://sleepyeyes.tistory.com/35?category=770495


입력을 끝내고 제출하기를 누르면 이메일로 확장자명 없는 license 파일을 보내준다. 이파일을

%JEUS_HOME%\license 경로에 넣는다. 이 때 기존의 라이센스가 존재하는데 버리지말고 파일명을 바꿔 남겨두자


5. 실행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md에서  jeus 명령어를 실행한다

켜지면 JeusServer is Ready가 보인다.


6. http://localhost:9744/webadmin 으로 확인한다.


제우스 관리자 웹페이지가 나오며 id는 administrator 비밀번호는 설치시 등록한 비밀번호이다.




'웹서버 > JEUS, Webt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toB] 웹투비 설치  (0) 2019.01.10

이번에 JEUS/WebtoB 환경에서 개발하게 되었다. 처음 들어본 WAS였고 국산이라고 한다.


JEUS는 톰캣과 같은 WAS고 WebtoB는 아파치와같은 웹서버이다.


각설하고 설치와 기본셋팅을 알아보자.


* 개발환경 jdk 1.5, JEUS 5, WebtoB 4.1


1. jdk 1.5 설치

https://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business/downloads/java-archive-downloads-javase5-419410.html


제우스와 웹투비는 자바기반이므로 jdk가필요하다. 


2. 웹투비 4.1 설치파일 다운 

https://technet.tmaxsoft.com/ko/front/main/main.do


위 링크를 타면 중간에 WebtoB가 보인다. 플로피디스크모양 이미지를 클릭하자


각자 필요한 버전을 찾아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각 운영체제에 맞는 비트를 골라 설치파일 다운을 시작한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점은 jdk, 웹투비, 제우스 모두 비트수를 맞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jdk 1.5는 32bit...밖에)


3. 설치



아무생각 없이 Next를 클릭하다 보면 다음 갈림길이 나온다.

JEUS와 연동해서 쓸것이므로 상단에 WebtoB만 설치한다.


기본경로이다. 원하면 수정해서 설치를 쭈욱 진행한다



4. 환경변수 셋팅

WEBTOBDIR 에다가 설치한 웹투피 경로를 입력해준다



Path 에도 %WEBTOBEIR%\bin, %WEBTOBEIR%\lib 를 추가해준다. 


5. 라이센스 등록

https://technet.tmaxsoft.com/ko/front/main/main.do


다시 홈페이지로 가면 이쁘게 보라색으로 라이센스 신청 배너가 있다



클릭하면 팝업창이 뜨는데 정보를 제품명은 웹투비를 선택하자



정보를 쭈욱 입력해주고 라이센스를 발급받으면 되는데 Host Name은 조금 생소하다.

다음과 같이 cmd창에 hostname을 치면 나오는데 그대로 적어주면 된다.


window에 내컴퓨터 속성에서도 볼 수 있다.


다 입력하고 제출하면 이메일로 license.dat 파일을 보내준다. 

이파일을 %WEBTOBEIR%\license에 넣어주면 라이센스 등록 끝


6. 실행 

관리자 권한으로 cmd창을 열어주고 

wscfl -i http.m 명령어로 웹투비 설정파일을 컴파일 해주고 

wsboot 명령어로 웹투비를 실행 해준다. 

wsdown 명령어로 종료할 수 있다.



7. localhost:8080 으로 확인




'웹서버 > JEUS, Webt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US] 제우스 설치  (3) 2019.01.10

+ Recent posts